Web, Network(4)
-
[API] 멱등성(Idempotent)
수학에서 멱등성이란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API에서의 멱등성이란 PUT 메소드와 같이 여러 번 요청해도 한 번 요청했을 때와 결과가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POST는 동일한 데이터라도 요청 시마다 지정한 리소스를 생성합니다. 그러나 PUT은 동일 데이터를 여러 번 요청해도 생성은 최초 한 번이고 그 다음부터는 해당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효과를 가져오죠. 이처럼 여러 번의 요청이 한 번 요청했을 때와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게 멱등성입니다.
2022.07.09 -
[IP, NAT] IP와 공유기(NAT)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기
오늘 준비한 글은 IP가 고유한 주소라는 말을 들어보셨을텐데 내가 본 IP들은 다 192.168.x.x나 다 비슷비슷하게 생긴 IP던데???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한 글입니다... IP 결론부터 말하자면 IP는 지구상에 하나 뿐인 고유한 주소가 맞습니다. 단지 이 주소를 여러 device에서 공유하고 쪼개쓰는 기술이 발전했을 뿐이죠 ㅎㅎ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는 이 IP를 보고 목적지를 찾아가는데 unique하지 않으면 제대로 찾아갈 수가 없죠 우편물이 집주소 보고 제대로 배달되듯 IP도 집주소처럼 고유한 주소여야됩니다. 공유기와 NAT 공유기(Home Router)는 원래 하나의 IP를 여러 device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가정용 라우터입니다. unique한 원래의 IP를 공인 IP라고 하고 공..
2021.12.23 -
[DNS] DNS(Domain Name System)란?
오늘은 인터넷을 쓸 때 항상 IP 주소를 쓰지 않고 텍스트로 된 주소를 쓸 수 있게 해주는 DNS(Domain Name System)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NS(Domain Name System)란?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은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정 컴퓨터(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IP 주소)로 변환해 준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흔히 "전화번호부"에 비유된다. 인터넷 도메인 주소 체계로서 TCP/IP의 응용에서, www.example.com과 같은 주 컴퓨터의 도메인..
2021.12.23 -
[TCP] TCP 데이터 경계 문제에 대해서
네트워크 통신에 쓰이는 소켓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가 있고 UDP의 경우 데이터 경계가 명확해 3번 send 호출해서 보냈으면 3번 recv 호출해서 받아야되죠 그러나 TCP의 경우에는 데이터 경계가 없어 3번 send로 보냈어도 recv를 몇 번 호출해야될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냥 이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는게 효율적일지 생각해보고 스크립트 짜보며 끄적여본거 올리는겁니다ㅋㅋ TCP 데이터 경계 문제 해결방법 끝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추가한다. 미리 데이터의 길이를 고정시킨다. 이 문제에 대해 제가 파이썬으로 작성한 코드입니다. 구분 문자: https://github.com/gwangmin/tools/blob/m..
2021.04.01